top of page

"지원법이라더니 발목잡는 법"…첨생법·생명윤리법 충돌에 발 묶인 바이오

2025년 8월 17일

첨단바이오 키우는 과기정통부, 유전자가위 기술 기업 방문해 의견 청취

2025년 8월 14일

국내 첫 오가노이드 협의체 출범…삼성바이오로직스 대웅제약 등 27곳 참여

초대 회장은 박정태(바이오의약품협회), 부회장은 김동중(삼성바이오로직스)

2025년 8월 13일

생성형 AI 활용해 세계 최고 수준 유전자 교정 효율 달성

서울대 배상수 교수 연구팀

2025년 8월 7일

신생아 실명, 막을 수 있다는데…“국가검진은 왜 외면하나”

안저검사 제도화, 예산·현장 여건 모두 넘어야 할 산. WHO도 권고했지만…’정책 논거 부족’ 이유로 제자리

2025년 8월 6일

"면역억제제 필요없다"…세계 첫 유전자 편집 췌장세포 이식 성공

NEJM에 1형 당뇨병 환자 대상 첫 인체 적용 사례 발표

2025년 8월 6일

해외 규제부터 약가까지, 정부 제약바이오 살리기 팔걷었다

제7차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서 강조. 후기임상 펀드, 글로벌 네트워크, mRNA백신 사업 등도

2025년 8월 5일

'빅파마도 군침' 초고가 신약 AAV 치료제…국내사는 생산 파트너 역량에 집중

美 허가 품목 6종 불구 '1회 투약=치료' 기대감에 2035년 시장 규모 148조 전망

2025년 8월 4일

"신생아 눈 검사, A4 한 장 홍보도 없어"···실명 막을 기회 외면한 정부

안저검사 검진 항목 제외. 전국 검사 시행 병원 적어

2025년 7월 30일

日, 1.3조원 들여 첨단 의약품 생산 기반 확충

니콘·AGC 등 5개 기업에 日정부도 지원

2025년 7월 29일

실명 위기 아기들, 치료 기술 있어도 규제·예산 발목

소아희귀병 대응, 복지위 침묵 속 외통위 간사만 응답. 외통위 소속 김영배 의원, 법 개정 위해 팔 걷어붙여

2025년 7월 29일

'세포·유전자 치료제 시장' 138조 전망…"규제 정비 필요"

CGT시장 2030년 995억불 전망
FDA·EMA, 관련 특화 규제 지원
"규제 혁신이 CGT 중요 전환점"

2025년 7월 29일

'R&D 예산 편성' 기재부-혁신본부 힘겨루기

2025년 7월 27일

[아파도 괜찮을 권리] ⑦ ‘누구도 학교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미국의 「Section 504 Plan」

아파도 배울 권리, '504 플랜'으로 들여다 본 차이

2025년 7월 25일

막 오른 '유전자 가위' 치료제 시대…규제에 막힌 한국

막 오른 '유전자 가위' 치료제 시대…규제에 막힌 한국

2023년 12월 13일

英·美 승인 이어지는 유전자 치료제, 국내 개발 현황은?

카스거비, 영국 이어 FDA 승인으로 유전자 치료제 관심 높아져. 툴젠, 앱클론 등 국내 기업 및 대학 연구실 연구는 지속 중

2023년 12월 12일

신생아 망막질환, 첨단 유전자치료 열띤 연구 중이지만… “정부 지원 불투명”

소아희귀난치안과질환환우회 “논의 이어갈 창구 매우 좁아”

2023년 11월 6일

소아 희귀난치 안과 질환 논의하는 심포지엄 열린다

국내 유전자세포 치료제 개발 현황 공유 및 환자 지원을 위한 정책 제안 논의

2023년 10월 26일

의료복지 사각지대 ‘소아희귀난치질환’… “정부 시급히 지원책 마련해야”

환우회 “국내 최고 의료진도 연구 지원 어려움, 관련 지원책 시급”

2023년 10월 26일

유전자 망막질환 치료확대...'유전자세포치료센터' 주목

김영주 의원, 식약처에 환자 조기치료위한 정부지원 필요성 강조

2023년 10월 24일

소아희귀난치안과협회 

주소 : 05051 서울시 광진구 아차산로 378, 3층 388호
대표 : 이주혁 · 이메일 : siklee22@naver.com · eyelovechild.com@gmail.com
전화 : 070-7014-0304, 010-2972-5431

bottom of page